안녕하세요.
카카오 뒤 숫자 3자리가 뭘까요? 카카오 지갑, 인증서 발급 등에 필요한 본인인증을 진행하다 보면 카카오 뒤 숫자 3자리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익숙하지 않으면 많이 당황스러우실 수 있는데 알고 보면 쉽습니다. 오늘은 카카오 뒤 숫자 3자리 적는 방법에 대하여 짧게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뒤 숫자 3자리가 뭘까요?
- 카카오 인증 등을 위해 필요한 인증 번호입니다.
쉽게 말해 문자 인증번호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다른 점은 인증번호를 문자가 아닌 본인이 입력한 계좌 거래내역에서 확인하는 것입니다.
▶필요한 것
- 본인 계좌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금융기관 은행 어플 ex) NH콕뱅크, 토스, 신한은행, 우리won뱅킹 등 은행어플
▶카카오 뒤 숫자 3자리 적는 방법
- 갑자기 1원을 송금했으니 카카오 뒤 숫자 3자리를 적으라고 하면 순간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인증을 위해 입력하신 본인 계좌번호에 1원을 송금했으니 입력한 본인 계좌 "거래내역에서 입금자명"을확인하라는 것입니다.
순서 ▼
1. 입력한 계좌의 거래내역을 확인합니다. (은행 어플 등에서)
2. 입금내역 중 "카카오000"을 확인합니다.
3. 카카오 뒤에 있는 숫자 3자리를 기억합니다.
4. 숫자 3자리 입력 창에 입력합니다.
※1원을 보낸 입금자명은 "무조건 카카오000"입니다.
예를들면 "카카오889" 여기서 카카오 뒤에 있는 숫자 3자리 "889"를 입력하라는 것입니다.
계좌에서 카카오 뒤 숫자 3자리를 확인한 후에 위에 보이는 카카오 뒤 숫자 3자리 입력란에 숫자 3자리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알고 보면 너무 간단합니다.
※카카오 뿐만 아니라 토스 등 타 은행에서 본인 인증을 진행할 때 동일한 방식으로 인증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하게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 계좌인증은 본인 명의로 개설된 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요새 이러한 인증 방법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사회 전반에 빠른 디지털화로 어르신들은 생활이 힘들 정도가 됐다고 합니다. 모바일뱅킹, 병원예약, SNS 등 스마트폰을 능숙히 활용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여전히 피처폰 이용 수준에서 머물러 있는 이들도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폰 보급률은 97%로, 세계 1위인 반면 70대 이상 연령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46.6%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출처: 헤럴드경제<디지털격차 ‘노년소외’ 부추긴다> 일상이 디지털·모바일화…소외된 ‘노인 인권’)
젊은 층에서 보기에 간단해 보이는 것들도 어르신들에게는 정말 어려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카카오톡인증서발급 글이 있음에도 따로 빼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카카오 뒤 숫자 3자리란 무엇인지, 카카오 뒤 숫자 3자리 적는 방법에 대하여 짧게 알아보았습니다.
꼭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제의 보약' 공진단의 효능, 복용 방법 (1) | 2025.03.07 |
---|---|
'세계 3대 향' 침향이란?, 침향의 효능, 먹는 법 (0) | 2025.03.05 |
혈당 낮추는 음식 BEST6, 당뇨에 좋은 음식 (3) | 2025.02.21 |
종소세 신고기간, 신고 필요서류, 과세표준 세율 구간 (2) | 2025.02.20 |
상속세 증여세 차이점과 공통점, 절세 전략 한눈에 알아봐요 (2) | 2025.02.19 |